전체 글 23

너도 할 수 있다 천재들의 학습법

그 것은 바로 천재 물리학자 리처드 파인만의 이름을 딴 '파인만 학습법'이다. 한 마디로 내가 배운 내용을 아이도 이해할 수 있을 만큼 쉽게 설명해보는 방법이다. 천진난만한 아이는 상상할 수 있는 모든 것에 왜? 라는 토를 달기 마련이다. 배경 지식이 없고 호기심이 무한한 아이를 이해시키기 위해서는 우선 본인의 깊은 이해가 전제되어야 될 것이다. 파인만 학습법은 다음 3단계로 이뤄진다: 1. 조사 research 2. 설명 explain 3. 피드백 feedback 첫번째 조사는 두루뭉실하게 진행되고 아이가 이해하기 어려운 전문 용어를 처음 접하게 될 것이다. 그 어려운 단어들로 설명을 해보면 내가 모르는 부분이 무엇인지 명백하게 드러난다. 그렇다면 다시 그 전문 용어가 무엇을 뜻하는 지, 비유하자면 어..

잡소리 2023.08.20

일상을 기록하는 것이 어떻게 무기가 되는가

메모, 일기, 플래닝, 감상문 창작이 아닌 일상의 깨달음을 글로 옮겨 적는 것들이다. 이 기록들은 나의 생각으로부터 발생한다. 다시 말해 생각이 없으면 기록도 없다. 때문에 단순히 옮겨 적는 메모, 나중에 보려고 적는 메모는 없느니만 못하다. 기록의 핵심은 나의 생각을 요약하는 것이다. 기록을 하려면 생각을 해야 한다. 그로써 기록은 휘발되지 않고 온전히 나에게 누적된다. 곧 경험이 누적된다. 게임에서 경험치가 누적되면 레벨업을 하듯이 나도 성장이 가능해진다. 지나온 과거의 기록이 있다면, 앞으로 일어날 일들을 미리 계획하는 기록도 있다. 계획은 나의 행동을 제약하지만 동시에 자유를 얻게 해준다. 이 것이 가능한 이유는 주관이다. 주관적인 삶을 영위함으로써 비로소 내가 원하는 삶을 선택하는 자유를 얻을 ..

독서 2023.06.27

뇌 과학으로 알아보는 성공의 방법 | 앤드류 후버만

요즘 미디어를 통해서 도파민 중독이나 신경 과학에 기반한 자기개발에 대한 주제가 많이 보인다. 이런 현상의 배후에는 2021년에 팟캐스트를 시작해 현재 가장 인기 있는 인플루언서 중 하나로 거듭난 신경-뇌 과학 권위자 앤드류 후버만 Andrew Huberman이 있다. Andrew Huberman Welcome to the official Huberman Lab YouTube channel. The Huberman Lab podcast is hosted by Dr. Andrew Huberman, a neuroscientist and tenured professor of neurobiology and ophthalmology at Stanford School of Medicine. The podcast d..

독서 2023.06.03

절대 한국에서 남녀갈등을 말해선 안돼

서로 다른 배경과 생각을 가진 이대남과 이대녀가 남녀갈등에 대해 말하다 남녀 간의 갈등은 인터넷에서 과장되지만 현실에선 드러나지 않는다. 남녀갈등을 대하는 태도는 극단적으로 두 부류로 나뉜다. 아예 관심이 없거나, 이성을 잃거나. 그리고 남녀갈등에 대한 입장도 양극단으로 나뉜다. 남자와 여자. 진보당과 보수당, 출산과 군 복무, 성폭력, 낙태, 육아, 데이트 비용, 혼수, 성 상품화, 그리고 다음, 다음 문제... 남녀를 둘러싼 문제가 개인과 정책의 영역을 넘나들며 우리 사회를 위협하고 있다. 갈등은 결국 소통을 통해서 해결할 수 있다. 하지만 한국에서 남녀갈등은 다루기에 너무 뜨거운 감자다. 과연 세대가 바뀌기 전에 남녀갈등에 대해서 건설적인 대화가 이뤄질 기회가 있을까? 나는 이 질문에 대해선 비관적..

잡소리 2023.03.28

(한국) 사람들은 왜 이 재밌는 갓겜을 안 할까?

게임 업계에서 일하고 있는 김실장은 아들에게 상대적으로 넉넉한 게임 시간을 보장해준다고 한다. 그런데도 아들래미가 야숨 같은 갓겜을 안 하고 비교적 호흡이 짧은 게임만 고집하는 것을 보고 의문의 든 김실장 결론부터 말하면 1. 학업 등으로 게임할 시간이 제한적이고 2. 즉각적인 성장 체감, 곧 만족을 주는 콘텐츠를 선호하기 때문 아이를 예시로 들었지만 그 이유는 유난히 바쁜 하루를 살아가는 한국인들에게도 모두 적용된다. 데드 데드 리뎀션 2, 갓 오브 워, 젤다의 전설 등 모두 인정하는 명작 게임이지만 한국인들은 이런 게임을 천천히 씹어보며 맛볼 여유가 없다. 게임성은 열화됐지만 접근성이 무엇보다 뛰어난 모바일 게임이 강세인 것은 어떻게 보면 당연한 이치다. 여기서 접근성이란 그 게임을 하기 위한 최소 ..

게임 2023.03.28

EBS가 바라보는 게임 다큐멘터리 3부작, 게임에 진심인 편

1부 - 내 장례식에 틀어줘 게임은 무엇인가? 1. 자발적으로 장애물을 만들어 극복하는 행위 2. 상호작용을 통해 가상의 세계에 참여 3. 성취감을 제공하는 최적의 장치 게임이 가지는 가치 실패와 성취를 재밌고 안전하게 경험해 봄으로써 다양한 인생관을 형성하고 좀 더 풍요로운 삶을 영위하게 할 수 있다. 2부 - 너의 게임은 서로 다른 5인과 서로 다른 게임 웹툰 작가 가스파드 | 오락실 | 게임은 친구다 소설가 박서련 | 심즈 | 게임은 성장이다 지휘자 진솔 | PC방 | 게임은 위로다 게임 연구자 박이선, 큐레이터 권태현 | 플래시 게임, 모바일 게임 | 게임은 인생이다 3부 - 근데 이제 예술을 곁들인 게임을 예술로 볼 수 있을까? 찬성 측 시스템, 그래픽, 사운드, 스토리 등 종합 예술의 집합체 ..

게임 2023.03.24

교대 근무 시 수면 시간을 수학적으로 계산하는 법

요약 : 교대 근무처럼 수면 주기가 일정하지 않은 사람들은 매일 필요한 수면량과 패턴이 바뀌는데, 이 때 몸의 반응에 맞춰 수면을 융통성 있게 불규칙적으로 취한 그룹이 일정한 수면량과 시간을 규칙적으로 가져간 그룹보다 덜 피곤했다고 한다. 흥미로운 것은 두 그룹의 총 수면량에 차이가 없었다는 점이다. 결국 (교대근무자들은) 졸릴 때 자고, 안 졸리면 깨어 있는 게 맞다는 뜻 수학의 쓸모는? 과거 수면 시간과 period 유전자 간의 상관 관계를 밝혀내 노벨상을 받은 과학자가 있었다. 그리고 김재경 교수는 해당 연구를 수학적으로 분석해서 우리가 실생활에서 어떻게 자야지 덜 피곤한 지 수식화 해냈다. 과거에는 천재적인 계산 능력과 직관이 요구되는 연구였지만, 오늘날에 와서는 컴퓨터의 도움에 더해 대학생 정도..

잡소리 2023.03.23

가정 폭력, 네이비 씰, 의사, 우주인 | 조니 킴

I thought being a seal would solve all of my life's problems. I could not have any more wrong. (네이비 씰에 입단했던 시기를 떠올리며) I had a lot of hate in my heart as a kid the littlest things would take me off and I would find myself punching a wall or breaking someting (증오로 가득 찼던 어린 시절, 사소한 것에 화를 참지 못했던 자신을 돌아보며) (take off : 빠르게 상승하는 이미지, 무언가와 거리를 두는 이미지) (이륙하다, 자리를 뜨다, 거리를 두다, 덜어내다, 벗다 등) it took years for..

영어 2023.02.26

게임법 통과보다 급진적인 방법을 원하는 사람들

변동 확률 때문에 안 된다고? 한국 게임사들이 목숨 걸고 막으려는 이 법 확률공개법은 왜 또 무산되었는가 (feat. 여의도 스웜러커) 유튜브 G식백과와 김실장을 통해 존재를 알게 된 '확률형 아이템 규제 법안' 일명 게임법 한국 게임업계의 도 넘은 확률형 아이템과 기형적인 BM으로부터 이용자를 보호하고 게임 산업의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서 게임법의 통과는 무조건적으로 이뤄져야 한다고 생각했다. "메이플? 시럽으로 만들어버릴라"여명숙의 개수작TV 90화 게임 확률 공개 의무화하면 과연 좋아질까? 하지만 뒤늦게 게임법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접하게 되었고 생각이 조금 바뀌었다. 지금까지 자율 규제로 이뤄지던 확률 공개를 법적으로 강제하는 것이 게임법의 핵심인데 애초에 이런 사행성을 조장하는 확률형 아이템을 도..

게임 2023.02.15

건강을 위해 운동보다 먼저 고려해야 할 것

요약 1. 건강에 악영향을 미치는 습관(-)를 방치한 채로 운동, 식단 조절(+)을 시도하면 효과가 미미하거나 부작용이 있음 2. 라이프스타일 > 피트니스 > 퍼포먼스 순서로 개선해야 효과를 제대로 볼 수 있음 (생활방식 활동 > 일상건강 운동 > 성과목적 훈련) 3. 영국 사이클 국가대표의 라이프스타일 개선에 집중해 큰 성과를 거둔 데이브 브레일스포드의 사례 인용 (1%의 성장을 모아서 기하급수적인 성과 그래프를 그린다 : 성공 습관의 결론) 4. 라이프스타일을 개선할 수 있는 대표적인 예시 : 활동량, 식습관, 수면, 디톡스 5. 결론 : 운동도 좋지만 생활 습관을 먼저 돌아보자

운동 2023.02.15